Table of Contents

  • 본 보고서(“웰빙관점에서본건조환경”)는 OECD 웰빙 프레임워크(Well-Being Framework)를 활용하여 건조 환경의 주요 구성 요소(주거, 교통, 인프라, 도시 디자인/토지 이용)와 다양한 웰빙 차원간의 상호작용 을 강조하며, 정책 차원에서 건조 환경에 대한 통합적인 웰빙 접근방식을 제안합니다. 본 보고서는 세 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 1장에서는 웰빙 관점에서 건조 환경을 정의하고, 관련 문헌, 현재의 관행 및 공식 데이터를 활용하여 건조 환경의 측정에 대한 함의를 제시합니다. 제 2장에서는 OECD 국가들의 건조 환경과 그 구성 요소의 상태, 그리고 건조환경과 웰빙과 지속가능성간의 상호관계를 설명합니다. 제 3장에서는 건조 환경 맥락에서 통합된 웰빙 정책 접근방식의 정책 사례를 강조합니다. 본 보고서는 동 주제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관련 데이터와 기존 연구를 “갈무리”하고자 합니다.

  • 각 그림에서 "OECD" 로 표시된 데이터는 달리 표시하지 않는 한, OECD 국가들의 단순 평균값입니다. 만약 38개 OECD 국가보다 적은 일부 국가에 대한 데이터만 사용 가능한 경우, 계산에 포함된 국가수는 그림에 명시됩니다(예: OECD 33).

  • 건조 환경은 개인, 가족 및 지역사회의 생활 환경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칩니다. 건조 환경의 범위는 건축물과 같은 개별 요소뿐만 아니라 자연, 그리고 사회와의 상호작용을 포함합니다. 이 보고서는 건조 환경의 네 가지 주요 구성 요소(즉, 주택, 교통, 도시 계획/토지 이용 및 기술 인프라)를 사람들의 웰빙, 포용 및 지속가능성과 특히 큰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주목하였습니다. 건조 환경의 이 네 가지 주요 구성 요소는 각각 경제적 웰빙에 기여하며, 사람들이 일자리와 기타 경제적인 기회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합니다. 그러나 건조 환경은 경제적 측면뿐만 아니라 건강, 안전, 환경의 질 및 사회적 연결과 같은 비경제적 측면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건조환경이 비경제적 측면에 미치는 영향이 종종 제대로 이해되지 못하거나 인정받지 못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이 보고서는 이러한 측면에 더욱 주목하고 있습니다.

  • 이 장에서는 웰빙 관점을 적용한 건조 환경의 정의와 측정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웰빙과 건조 환경은 상호 작용하며 물질, 사회, 관계, 환경 측면에 걸쳐 사람들의 삶에 영향을 줍니다. 따라서 현재의 웰빙과 미래를 위한 자원을 모니터링하는 OECD 웰빙 프레임워크는 건조 환경이 현재 사람들의 웰빙과 지속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 장에서는 정부와 학계에서 건조 환경과 관련하여 제시하는 다양한 정의를 살펴보고, 웰빙과 특히 관련성이 높은 건조 환경의 주요 구성 요소(예: 주택, 교통, 도시 설계/토지 이용 및 기술 인프라)를 알아봅니다. 그런 다음 건조 환경의 양과 질을 평가하고 웰빙과의 상호 관계를 강조하는 데 도움이 되는 25가지 지표를 소개합니다.

  • 건조 환경은 기본적인 인간의 욕구 충족부터 다양한 활동을 위한 공간 제공에 이르기까지 사람들의 웰빙과 지속가능성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칩니다. 건조 환경은 또한 상당한 비용을 발생시키거나 환경과 생태계에 부담을 가중시켜 사람들의 현재와 미래의 웰빙을 저해할 수도 있습니다. 열악한 건조 환경(예: 주택, 교통, 인프라, 도시 디자인/토지 사용 등)은 사회 내 인구집단 간의 고질적인 불평등을 악화시킬 수도 있습니다. 본 장은 건조 환경, 웰빙 및 지속가능성 간의 중요한 상호관계를 제시하며 국제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OECD 국가의 현황에 대한 개요를 제공합니다.

  • 이 장에서는 OECD 국가의 웰빙 프레임워크와 지표에 건조 환경이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먼저 검토합니다. 그런 다음 건조 환경 정책의 4R전략, Reefocusing(재초점), Redesigning(재설계), Realigning(재조정), Reconnecting(재연결)을 지향점으로 삼아 웰빙의 관점으로 살펴봅니다. 웰빙에 대한 측정결과를 근거로 정책 결정자는 사람들의 삶에 중요한 결과물에 초점을 다시 맞추고 더 복합적인 관점에서 정책 내용을 다시 설계하도록 지원합니다. 또한 웰빙의 관점에서 각기 다른 관계자의 이해 관계를 다시 조정하고 정부와 정부가 보살피는 지역 사회 및 건조 환경을 조성하는 데 중요한 민간 부문 활동가를 다시 연결합니다. 뉴질랜드의 웰빙을 위한 주택 및 도시 정책, 아일랜드의 지속 가능한 이동 전략 등의 정책사례를 통해 4R전략이 건조 환경, 웰빙, 지속 가능성을 어떻게 통합적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지 소개합니다.